사이베이스, 일본 NTT 데이터에 분석플랫폼 CEP 공급

2012.02.01 컴퓨팅 편집.취재팀 기자 :

 

사이베이스, 일본 NTT 데이터에 분석플랫폼 CEP(복합 이벤트 처리) 공급

 

한국사이베이스(대표이사 김태영, www.sybase.co.kr)는 일본의 NTT 데이터(www.nttdata.com)가 대용량 데이터 세트에 대한 업계 선두적인 실시간 분석을 위한 CEP솔루션인 사이베이스 앨러리 스트리밍 프로세서(Sybase Aleri Streaming Processor, ESP)와 분석 플랫폼인 RAP(Real-time Analytic Platform)를 채택해 브릿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강화하게 됐다고 1일 밝혔다. NTT 데이터는 사이베이스 분석솔루션을 통해 트래픽 집중 시기에도 고속으로 축적되는 복잡한 대용량 데이터 세트에 대한 분석 능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NTT 데이터는 비즈니스 컨설팅, 기술, 아웃소싱 서비스 등 다양한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IT 전문기업이다. NTT 데이터의 브릿지 모니터링 시스템(bridge monitoring system)은 자연 재해에 대한 반응 관리, 브릿지 구조의 유지, 구조의 피로 강도 추정 등에 필요한 중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브릿지에 대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을 실행하고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 고속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하이레벨 정보를 축적, 전송하는 정보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NTT 데이터는 자사의 시스템과 사이베이스 분석 플랫폼과의 통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POC (proof-of-concept) 테스트를 실행했으며, 8개월간 다양한 CEP 플랫폼을 테스트한 결과 사이베이스 CEP와 RAP를 결합한 기술이 가장 효과적인 솔루션이라는 점을 증명하게 되었다. NTT 데이터는 적극적으로 사이베이스 ESP 베타 프로그램에 참여해 소프트웨어를 평가했으며, 제품 사용과 관련된 피드백을 사이베이스에 제공했다. 이 베타 프로그램 평가에는 총 몇 개의 센서 데이터가 처리되는지 알 수 있는 애그리게이션 테스트(aggregation test), 처리 속도를 파악할 수 있는 레이턴시 테스트(latency test), 외부의 수학 라이브러리 호환성 테스트 및 장기 데이터 핸들링에 대한 테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NTT 데이터의 어시스턴트 매니저 요코 이나바(Yoko Inaba)는 "이번 POC의 주된 목적은 각 플랫폼의 처리 속도 및 다양한 데이터 세트를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라며 "사이베이스 ESP와 RAP는 기대 속도로 10,000여 개 센서에서 데이터를 축적해 모든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사이베이스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개발 및 통합 용이성을 높여주고, 다이나믹한 모델-스위칭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기본적으로 POC의 목적은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통합을 위한 것이었으나, 사실상 NTT 데이터의 궁극적인 목표는 다양한 범위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이베이스 ESP 의 사용 적합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었다. POC의 긍정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NTT 데이터는 현재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장기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대용량 실시간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 새로운 솔루션은 2012년에 시범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사이베이스 ESP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활용, 사이베이스 RAP 캐시 기능은 인메모리 기능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의 순차적 데이터 처리에, RAP 스토어 기능은 수 개월간의 데이터 관리에 활용된다.

 

사이베이스의 금융 서비스 제품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닐 맥거번(Neil McGovern)은 "사이베이스 플랫폼의 포괄적이고 유연한 설정을 통해 NTT 데이터는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량과 레이턴시(latency)에 따라 하이브리드 인프라스트럭처를 구현할 수 있다"라며 "이번 NTT 데이터의 개발은 자사의 실시간 분석 솔루션이 금융 서비스 이외의 산업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잘 보여준다. NTT 데이터와의 협업을 통해 사이베이스 ESP와 RAP를 활용한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탐색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매우 만족스럽다"라고 말했다.

 

이규빈 기자 nazo@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동영상리뷰

HOT REVIEW

LASTEST REVIEW

NOTEFORUM
노트포럼 대표 김원영 사업자번호 : 635-02-00945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94, B1 등록번호 : 서울 아04916 제호 : 영테크
발행·편집인 : 김원영 등록 : 2018.01.09 발행 : 2018.01.09 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원영 이메일 : master@noteforum.co.kr
2006-2025 NOTEFORUM. Co. All Rights Reserved.

02-711-2075

월-금 09:00-18:00 / 주말,공휴일 휴무
News 53,462 Review 3,512
2006-2025 NOTEFORUM.